1. 신․재생에너지란?
• 정 의
-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, 물, 지열, 강수,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
• 종 류
- 재생에너지(8개분야) : 태양광, 태양열, 바이오, 풍력, 수력, 해양, 폐기물, 지열
- 신에너지(3개분야) : 연료전지,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가스화, 수소에너지
• 특 성
-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CO2 발생이 거의 없는 환경친화형 청정에너지
- 시장창출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인 개발보급 정책이 필요한 공공미래에너지
- 태양광, 풍력 등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 구성된 비고갈성 에너지
- 연구개발에 의해 에너지자원 확보 가능한 기술에너지
• 중요성
- 과다한 초기투자의 장애요인에도 불구하고 화석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문제에 대한 핵심 해결방안
- 최근 유가의 불안정, 기후벼화협약 규제 대응 등 신․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에너지 공급방식 다양화 필요
- 기존에너지원 대비 가격경쟁력 확보 시 신․재생에너지산업은 IT, BT, NT 산업과 더불어 미래산업, 차세대산업으로 급신장 예상
- 2011년 총에너지의 5%를 신․재생에너지로 보급한다는 장기적인 목표하에 신․재생에너지기술개발 및 보급사업 등에 대한 지원 강화
2. 신․재생에너지 분야별 이해
• 태양광발전(Photovoltaic)
- 태양의 빛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술
• 태양열(Solar Thermal)
- 태양으로부터 오는 복사광선을 흡수해서 열에너지로 변환(필요시 저장)시켜 건물의 냉난방 및 급탕, 산업공정열, 열발전 등에 활용하는 기술
• 바이오에너지(Bio-Energy)
- 바이오매스(Biomass, 유기성 생물체를 총칭)를 직접 또는 생․화학적, 물리적 변환과정을 통해 액체, 가스, 고체연료나 전기․열에너지 형태로 이용하는 화학, 생물, 연소공학 등의 기술
• 풍력에너지(Wind Power)
- 바람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술
• 수력발전(Hydro Power)
- 물의 유동 및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
• 연료전지(Fuel Cell)
-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 시키는 기술
• 석탄(중질잔사유)가스화․액화
- 석탄(중질잔사유)가스화 : 가스화 복합발전기술(IGCC: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)은 석탄, 중질잔사유 등의 저급원료를 고온․고압의 가스화기 에서 수증기와 함께 한정된 산소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시켜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만들어 정제공정을 거친 후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 등을 구동하여 발전하는 신기술
- 석탄액화 : 고체연료인 석탄을 휘발유 및 디젤유 등의 액체연료로 전환시키는 기술
• 해양에너지(Ocean Energy)
- 해양의 조수․파도․해류․온도차 등을 변환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기술
• 폐기물에너지(Waste Energy)
- 폐기물을 변환시켜 연료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
• 지열에너지(Geothermal Energy)
- 물, 지하수 및 지하의 열 등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냉․난방에 활용하는 기술
• 수소에너지(Hydrogen Energy)
- 무한정인 물 또는 유기물질을 변환시켜 수소를 생산 또는 이용하는 기술
'준 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밭수목원 현황 (0) | 2012.01.09 |
---|---|
대전광역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조례 (0) | 2012.01.09 |
선택이 아닌 필수 녹색경영 (0) | 2012.01.09 |
녹색성장이란? 대전시 녹색성장소개 (0) | 2012.01.09 |
대전시, 사무관급 93명 인사발령(2012.1.9.일字) (0) | 2012.01.09 |